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정상과 비정상

1945년에 출간된 조지 오웰의 대표작인 ‘동물농장’은 역사적 정치 풍자 소설이다.   존스가 운영하는 ‘맨더빌 농장’의 동물들이 농장주의 압제에 대항하여 ‘네 발은 좋고 두 발은 나쁘다’라는 구호를 앞세워 늙은 수퇘지 메이저의 부추김에 빠져 반란을 일으킨다.     그리고 동물들은 ‘무릇 두 발로 걷는 자는 적’ ‘네 발로 걷는 자나 날개를 가진 자는 친구다’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 등 ‘일곱 계명’을 주창한다. 모든 동물이 인간의 착취가 없는 평등한 이상 사회를 건설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돼지의 지도자 나폴레옹이 스노볼을 내쫓은 뒤로부터 동물들은 옛날보다 더 혹독한 여건에서 혹사당하기 시작한다.   나폴레옹이 권력을 장악하게 되면서 동물들은 권력을 남용하는 돼지들에 의해 억압당하게 되었고, 그들은 점차 인간처럼 행동하기 시작했다. 애초 반란의 목적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사리사욕에 빠졌다.     동물농장의 초기에 세운 ‘일곱 계명’은 동물들이 평등하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돼지들은 이 계명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변경하면서 원래의 이상은 점차 희석되고 왜곡되었다.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는 원칙은 결국 “어떤 동물도 다른 동물보다 더 평등하지 않다”는 계명으로 변하게 되었다. 농장에 살던 동물들은 대부분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특히 개나 양처럼 돼지의 명령을 따르는 동물들은 현재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저 충성하는 모습만 보였다. 그러니 돼지들의 부패나 변칙적인 행동에 대한 저항이 일어나지 않았다.   외부의 인간들이 ‘동물농장’을 위협하고, 자원을 분산시켜 내부의 안정감을 방해했다. 결국 인간들과의 관계를 맺으며, 자신의 이익을 위한 타협과 배신으로 ‘동물농장’의 이상은 파괴되었다. 그들이 가진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그들의 실패는 권력의 부패, 무지한 대중 그리고 배신이 결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동물농장이 풍자한 정치적 역사 배경은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스탈린 시대에 이르기까지 소련에서의 정치 상황을 재현하고 있다. 혁명을 호소하는 늙은 돼지 메이저는 마르크스를, 독재자 나폴레옹은 스탈린을, 나폴레옹에게 내쫓기는 스노볼은 트로츠키를 상징한다.   성공한 혁명이 어떻게 변질되어 가는지, 권력을 가진 지도자들이 어떻게 국민을 속이고 핍박하는지를 면밀하게 그린 이 우화는 현시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동물농장 속 나폴레옹과 돼지들은 모든 시대에 존재 가능한 교활한 권력자와 그 집단을 상징한다. 동물농장에서 권력 자체만을 목표로 하는 혁명은 주인만 바꾸는 것으로 끝날 뿐 본질적 사회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한다는 메시지를 준다.     매서운 질타는 비관이 아니라 권력의 타락을 막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한 통찰도 동반하고 있다.     동물농장이 함축하는 또 다른 메시지는 동물들의 무지와 무기력함이 권력의 타락을 방조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권력에 맹종하고 아부하는 순간 사회는 병들어 가고 피폐해진다. 자유민주주의 가치에 대한 신념을 토로하고, 자유를 향한 인간 능력에 깊은 신뢰를 표명해야 한다.   권력 쟁취 자체만을 목표로 하는 혁명은 주인만 바꾸는 것으로 끝날 뿐 본질적 사회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하고 나락으로 추락할 뿐이다.   사람들이 권력에 맹종하고 아부하는 순간 사회는 좀먹는다. 자유민주주의 가치는 특정인의 독점물이 아니라 함께 누리는 행복이다. 이것이 정상과 비정상의 차이가 아니겠는가. 박철웅 / 일사회 회장기고 비정상 정상 지도자 나폴레옹 자유민주주의 가치 독재자 나폴레옹

2025-01-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